CBDC, 암호화폐 그리고 경제이야기

변화하는 화폐시스템과 암호화폐의 등장!!

해브a굿데이 2023. 11. 21. 07:06
728x170

변화하는 화폐시스템!

그 안에 숨은 정답은? 뭘까요?

 

 

종이화폐는 사라지고 디지털화된다!!

 

현실에서 사용되는 종이화폐가 사라지고 있다?

디지털시대를 맞아 종이화폐를 사용하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저만해도 이제는 카드도 들고 다니지 않고 핸드폰만 있으면 모든 금융생활과 결제생활이 해결되는 듯 한데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활하시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이제 곧 카드도 사라지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요?

카드는 모두 핸드폰 안으로 들어갈지 모르겠습니다.

 

 

우리의 현실이 이러하듯..

이제는 화폐시스템의 변화가 도래하고 있다는 사실도 인지해야 합니다.

 

 

디지털시대를 맞아 디지털화폐가 전세계 각국에서 이미 많은 개발단계를 이뤄왔습니다.

한국도 마찬가지인데요! 지난 6년여간의 연구의 결실이 맺기 직전인듯합니다.

화폐시스템의 개발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유통엔 그리 많은 시간이 투자되지 않을 듯 합니다. 이미 우리는 모두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카카오톡 등 SNS 플랫폼들을 주축으로 빠르게 확산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더욱더 관심있게 지켜봐야 하는 트렌드라는 생각이 듭니다.

 

 

디지털시대 준비하는 한국은행!
CBDC 총력전

 

 

지난 2017년부터 무려 6년째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를 연구하고 있는 한국은행이 막바지 CBDC 연구에 총력전을 띄웠습니다.

5일 과학기정통부가 개최한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 '에이블(ABLE)' 발대식에서 유희준 한국은형 디지털화폐기술팀 팀장은 한국은행의 CBDC 연구현황을 공유하며 "한국은행은 기술발전과 미래 디지털화된 사회에 맞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공공화폐인프라 구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해서 CBDC 연구를 해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앞서 지난 2017년 처음 CBDC 연구를 시작으로..

20218년에는 소액결제 시스템, 2019년엔 증권 관련 연구를 진행했으며..

2021년 모의실험, 2022년 연계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제는 유통을 위한 단계로 2024년 소액결제를 테스트를 시행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듯 합니다.

 

 

이런 로드맵에 따르면.. 2025년에는 상용화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런 예측이 가능한 듯 합니다.

 

 

 

미국도 화폐시스템 개혁 준비 CBDC 도입을 위한 초석 FedNOW 출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오는 7월 말 실시간총액결제 시스템 ‘페드나우(FedNow)’를 출시했습니다.

페드나우는 연준이 직접 추진하는 시스템으로..

은행, 신용조합과 같은 예금기관이 주말과 공휴일처럼 영업을 하지 않는 날에도 즉시 자금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계정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기 예방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결제 수수료도 기존의 5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한 것이 특징인데..

연준은 페드나우 출시가 디지털화폐 CBDC와는 관련이 없다고 하지만, 실상은 CBDC로 넘어가는 초석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디지털화를 위한 초석이며, 디지털화폐의 유통의 통로가 FEDNOW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통화는 달러로, 세계의 기축통화입니다. 기축통화인 달러를 디지털화폐로 대체하는 것을 발표하는 것은 미국의 경제패권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니만큼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있는 중이죠! 이런 미국의 상황이 CBDC의 도입을 발표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미국의 달러는 쇠퇴하고 있으며 미국도 이를 알고 디지털화폐를 개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이 타국에 비해 뒤쳐지는 것 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미 미국은 준비를 하고 있을 것입니다. 이게 팩트이며 화폐시스템의 미래인 것입니다.

 

 

FED 파월의장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말하다!

 

파월의장은 지난 청문회에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언급을 했습니다.

이미 무슨 의미일까요?

중국은 미국의 국채를 상당수 보유하면서 미국국채를 볼모로 미국의 위협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담보로 미국채권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커질수록 미국의 국채 소모가 많아질 것이며 국채의 가격방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FED의장인 파월은 스테이블코인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의 규제가 코앞까지 와있는 듯 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의 시장이 커진다는 것은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으로 암호화폐 구매가 용이하기 때문이죠!

 

 

화폐시스템의 변화와 스테이블코인의 규제화!

그리고 이어지는 디지털화폐의 시대의 암호화폐의 역할!

이 모든 것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성이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도 커질 것을 의미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 먼 미래는 아닐것입니다. 현재 암호화폐의 명확성을 위한 규제가 들어오고 있으며..

이 규제는 단기적인 악재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인정받으며 기관들의 투자를 이끌어낼 전망입니다.

 

 

이런 모든 변화에 귀추를 주목해야 하며...

화폐 시스템의 변화를 눈여겨 보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

성투하십시오!~

그리드형